이 음식은 몇몇 미취업 청년들이 연탄난로와 알루미늄 냄비를 사용해 중국 최초의 '꼬치노점'을 꾸미면서 시작됐다. 당시 건두부와 토끼허리 같은 재료를 소금과 고추가루로 간단히 양념해 저렴하게 제공했지만, 뜻밖에도 쓰촨과 충칭의 야간경제에 활기를 불어넣었다.
꼬치향은 훠궈의 또 다른 형태로, 쓰촨지역의 한족 특색을 잘 보여준다. 맛은 고소하면서도 느끼하지 않고, 기분 좋고 상쾌하며 얼얼한 매운맛이 특징이다. 대나무 꼬챙이에 쓴 재료를 버터를 테르담에 넣고 달군 뒤 산초, 건고추, 생강, 마늘을 넣어 향을 낸 후 쓰촨마라 훠궈 베이스를 넣어 볶고 막걸리를 부어 살짝 볶는다. 이후 뼈다귀 국물을 테르븀에 붓고 굴린 후, 좋아하는 음식을 끓여 훠궈 맛 접시에 곁들여 먹는다.
2000년 이후 꼬치향은 '작은 양과 높은 가격 대비 성능'이라는 유전자를 바탕으로 점차 하나의 카테고리로 진화했다. 이 음식은 단순한 길거리 음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재료와 조리법으로 발전하며 대중의 사랑을 받고 있다. 꼬치향은 그 독특한 맛과 향으로 인해 많은 이들에게 새로운 미식 경험을 제공하며, 중국요리의 다양성과 깊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로 자리 잡았다.
꼬치향은 단순한 길거리 음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재료와 조리법으로 발전하며 대중의 사랑을 받고 있다. 이는 중국 요리의 다양성과 깊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발전은 중국의 미식 문화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으며, 앞으로도 많은 이들에게 새로운 미식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춘애 명예기자(중국)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