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다문화]중국 제품 구입 한국인은 구매대행, 중국인은 직구 선택

  • 글자크기 설정

인터넷에서 제품을 구매할 때 많은 중국 제품을 찾아 볼 수 있다.

전에는 판매자들이 물건을 수입해 한국에서 판매했으나 요즘은 구매대행 업자들이 많이 생겨 한국 사이트에서 제품 정보를 올려 구입자는 사이트에서 통관번호를 제공해 구입하고 있다.

중국어를 모르는 사람들은 구매대행 업자를 통해 구입하는 데 재한 중국인들은 직구를 선택한다.

코로나 전에도 인터넷 쇼핑 사이트는 많지 않아 알리바바 회사를 많이 사용했지만 코로나 이후 인터넷 쇼핑 사이트는 쾌속 발전되었다.

요즘 많이 사용하는 APP는 쇼홍서, 쾌쇼, 도인 등이다.

이 APP들이 생방송 형식으로 물건 전시와 설명하고 판매하고 있고 결제도 마음 드는 물건을 눌러 인터넷 결제를 통해 바로 결제 가능하다.

예전에 사진 보고 구매하는 것 보다 생방송 통해 물건 보고 비교하고 구매하는 것이 더 인기다.

생방송을 보고 구매한 뒤 물건은 평소 본인이 이용하는 물류회사로 발송된다.

우체국에 비해 항구도시에 있는 물류회사들은 경제적이기 때문에 직구를 선택한 재한 중국인들은 자신이 쓰는 물류 회사가 다 있고 본인 통관번호도 물류회사에 맡긴다.

일반적으로 물건이 물류회사에서 구매자까지 관세청 통관 처리 때문에 7-10일 정도 필요하다.

중국이나 한국의 연휴에 걸리면 오는 시간이 더 많이 필요하다.

결제수단은 한국에 현금, 카드와 폰 뱅킹 많이 쓰고 있는데 중국에서 폰 뱅킹은 많이 쓰고 현금은 쉽게 보이지 않고 현금을 받지 않은 가계도 많다.

중국에서 거주하는 외국인들도 중국의 주요 결제 방식 위챗페이나 알리페이에 익숙해 본국 돌아갈 때 불편하다고 느낀다. 손효설 명예기자(중국)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