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다문화] 몽골의 전통 씨름, 보흐…유목민의 정신과 전통을 잇다

  • 글자크기 설정

몽골의 전통 무술인 ‘보흐(Бөх, Bökh)’는 1,600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하며 오늘날에도 몽골인의 자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주로 몽골 최대의 전통 축제인 나담(Naadam)에서 승마, 궁술과 함께 ‘용맹스러운 기술’로 불리며 선보인다. 보흐는 경기장에서 체급과 시간 제한 없이 상대의 무릎 이상의 신체 부위를 먼저 땅에 닿게 하는 선수가 패배하는 단순하면서도 치열한 규칙을 가진다.

보흐 선수들이 입는 전통 유니폼은 파란색과 붉은색으로, 각각 영원한 푸른 하늘과 꺼지지 않는 불꽃을 상징한다. 이는 단순한 운동복이 아니라 몽골 전통과 혁명적 이념에 대한 존중의 의미를 담고 있다. 유니폼에는 네모난 장군 모자와 터번, 망토, 뾰족한 앞코의 전통 부츠까지 포함되며, 선수들은 이를 정중하게 보관하며 의례를 지킨다.

승리한 선수는 독수리 춤이라 불리는 퍼포먼스를 통해 팔을 벌리고 하늘을 나는 모습을 흉내 내며 용맹과 자유를 상징한다. 이는 단순한 승리 세레머니를 넘어 보흐가 몽골인의 강인한 정신과 자유로운 기상을 드러내는 순간이다. 특히 나담 축제에서의 보흐는 단순한 경기를 넘어 지역 주민들이 함께 모여 공동체의 유대를 확인하고 전통문화를 계승하는 장으로 기능한다.

오늘날 몽골뿐만 아니라 중국 내몽골 자치구, 러시아 부랴트·투바 공화국 등 몽골족이 거주하는 여러 지역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보흐가 전해지고 있다. 학자들에 따르면 현재까지 최소 45가지의 보흐 기본 기술이 전해지며, 세대를 넘어 계승된다. 유네스코는 2010년 보흐를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해 그 가치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보흐는 단순한 씨름이 아니다. 척박한 유목 생활 속에서 강한 신체와 정신을 길러온 몽골인들이 몸으로 쌓아온 역사이자, 공동체와 함께 지켜온 문화유산이다. 오늘날에도 많은 몽골 소년들은 광활한 초원 위에서 씨름을 배우며 강인함과 예의를 익히고, 이는 곧 몽골인의 정체성과 자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벌드엥흐찐 명예기자 (몽골)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