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나라 현종 황제가 총애하던 양귀비는 리치를 좋아했지만, 당나라의 수도는 장안(지금의 시안)에 있었고, 리치는 영남지역(지금의 광둥, 광시, 하이난 등지)에서 생산되었다. 양귀비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권신 양국충은 사람을 시켜 먼 영남으로 보내어 신선한 여지를 장안까지 밤낮없이 운송하게 하였다.
리치는 '하루가 지나면 빛깔이 변하고, 이틀이 지나면 향기가 변하며, 사흘이 지나면 맛이 변한다.'라고 한다. 누가 이 불가능한 임무를 완수할 수 있겠는가? 불행히도 그 임무는 작은 관리 '이선덕'(李善德)에게 맡겨졌다.
![]() |
수많은 위험을 겪은 끝에 '이선덕'은 마침내 성공했다. 그러나 그는 성공했다고 기뻐하지 않고 깊은 고통을 느꼈다. 그 과정에서 그는 양귀비의 입맛을 위해 국가가 막대한 인력과 물자를 소모하고 백성의 이익을 희생하는 잔혹한 현실을 직접 목격했기 때문이다. 당나라는 바로 이 시기에 '안사의 난(安史之乱)'을 겪으며 성세에서 쇠락으로 기울어갔다.
비록 영화의 줄거리이지만,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각색된 것이다. 당대 시인 두목(杜牧)은 시에서 이렇게 말했다.
"장안을 돌아보니 수놓은 듯 집들이 쌓였고, 산 위에 천문이 차례로 열리네. 먼지 속을 달리는 기마, 귀비의 웃음, 그러나 아무도 그것이 리치를 운반하는 것임을 모르네."
이 시의 내용은 당시 백성을 괴롭히며 리치를 운송한 일을 풍자한 것이다.
작은 리치 한 알 속에는 얼마나 많은 작은 인물들의 고뇌가 담겨 있고, 얼마나 많은 역사적 변천과 격동이 숨어 있는가?
하지만 오늘날에는 첨단 냉장 유통으로 인해 남쪽 나무에서 딴 신선한 리치가 단 24시간 만에 반대편 북쪽 시장에 놓일 수 있다.
이제는 귀비가 아닌, 장안에 사는 평범한 우리도 무더운 여름날 시장에 가서 붉고 맛있는 리치를 언제든 살 수 있다. 만약 양귀비가 지금 이 광경을 본다면—그 또한 부러워하지 않았을까?
당리 명예기자(중국)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댓글 0개